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거절은 거절로 거절해야

琢言 2025. 1. 29.

거절은 거절로 거절해야

pinterest.com

 

안녕하세요. hakgeun choe 입니다. 살다보면 거절(拒絶)하기 어려운 부탁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상황과 맞지 않거나, 부담스러운 부탁이라면 거절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번에는 거절을 잘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절은 거절로 거절해야'의 의미

거절을 당했을 때 그것을 그대로 수용(受容)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때로는 상대방의 거절 이유가 불분명하거나 부당하다고 느껴질 때 더욱 그렇습니다. 이럴 때 '거절은 거절로 거절해야 한다'는 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말은 거절을 받았을 때 그것을 그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상대방의 거절에 대해 이유를 묻거나, 자신의 입장(立場)을 다시 한 번 설명하면서 상황을 재검토 해 볼 것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렇게 한다고 해서 항상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러한 적극적인 태도는 상대방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불필요한 갈등(葛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국 거절을 거절로 거절한다는 것은 단순히 상대방의 의견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간의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서로의 의견을 조율(調律)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절의 중요성과 개인 경계 설정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들의 부탁이나 요구를 거절하지 못하고 마지못해 들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습관은 자신의 건강과 안녕(安寧)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거절은 자기 보호와 개인 경계 설정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거절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하는 욕구,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마음, 혹은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損傷)시키지 않으려는 걱정 등이 그 예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면 스트레스, 우울증, 번아웃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가치관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개인 경계(個人境界)를 설정하고, 이를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명확한 의사소통과 자기 주장 기술을 활용하여 부드럽게 거절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며, 오히려 자신의 건강과 행복(幸福)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거절의 기술: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는 방법

거절을 할 때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는 것은 상황(狀況)을 좀 더 원활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몇 가지 팁을 소개하자면

먼저,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인 표현(表現)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오"라는 말 대신 "지금은 어렵지만 나중에 도와드릴게요"와 같은 완곡한 표현을 사용하면 상대방의 감정을 덜 상하게 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감정을 공감(共感)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당신이 얼마나 바쁜지 알아요. 하지만 저도 지금은 어려운 상황이에요."와 같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하면 상대방의 감정을 누그러뜨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제가 직접 도와드리지는 못하지만, 다른 방법을 찾아보시는 건 어때요?"와 같이 제안(提案)을 하면 상대방도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거절 상황

일상생활에서는 다양한 거절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업무 요청 : 직장 동료나 상사로부터 업무 요청을 받았을 때, 자신의 업무량(業務量)이나 일정 등을 고려하여 거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부탁 :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부탁을 받았을 때, 자신의 시간이나 능력(能力) 등을 고려하여 거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선물 : 누군가로부터 선물을 받았을 때, 자신의 취향(趣向)이나 예산 등을 고려하여 거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데이트 신청 : 이성으로부터 데이트 신청을 받았을 때, 자신의 관심사(關心事)나 스케줄 등을 고려하여 거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거절을 어렵게 만드는 심리적 요인

거절을 어렵게 만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要因)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사람들이 거절을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며, 이로 인해 스트레스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요인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정 욕구 :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慾求)가 강한 사람들은 거절을 함으로써 타인의 기대를 저버리게 되는 것을 두려워할 수 있습니다.

* 관계 손상 우려 : 상대방과의 관계가 손상될 것을 우려하여 거절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착한 아이 콤플렉스 : 타인의 기대에 부응(符應)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여, 거절을 하면 자신이 나쁜 사람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자기 비난 : 거절을 한 후에 자신을 비난하거나 자책(自責)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거절을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거절에 대한 건강한 반응과 수용 방법

거절을 당했을 때 건강한 방식으로 대응(對應)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 거절을 당한 이유(理由)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를 반영하여 다음 기회에 다시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대처 방법 외에도 스스로를 위로하고 격려(激勵)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실수를 하거나 거절을 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만약 혼자서 해결(解決)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면 가까운 친구나 가족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거절을 통한 자기발전과 관계 개선

거절을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價値觀)과 맞지 않는 일이나 부적절한 요구를 거절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욱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또 불필요한 갈등을 예방하고,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節約)할 수도 있습니다.

또 타인의 거절을 받아들이는 것은 상대방의 권리와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므로 대인관계를 더욱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더불어 상호 간의 신뢰(信賴)를 강화하고,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거절의 예술: 효과적인 거절을 위한 실질적 팁

효과적인 거절을 위해서는 몇 가지 실질적인 팁들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직접적인 소통 방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메시지나 전화보다는 직접 얼굴을 보고 대화(對話)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상황을 더 잘 파악하고, 상대방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명확하고 간결(簡潔)하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빙빙 돌리지 말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왜 거절하는지 이유를 분명하게 전달하세요. 마지막으로는 대안을 제시하거나 타협점(妥協點)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조건 안 된다고 하기보다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안을 제시하며 서로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찾아보세요.

pinterest.com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면서도,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傳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고민과 준비가 필요하며, 적절한 타이밍과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거절은 어려운 일이지만, 자신의 가치와 존엄성(尊嚴性)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