專欄 | 엣세이42 정 - 自作詩 정 - 自作詩 ‘사랑하지도 말고 미워하지도 마라. 사랑하면 못 만나서 괴롭고, 미워하면 만나서 괴롭다’고 법구경(法句經)은 가르치고 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듯이 정이 깊으면 한도 깊을 수밖에 없는 법이다. 다만 정(情)이란 맺으면 맺을수록 더욱 좋고, 한(恨)이란 풀어 주면 풀어 줄수록 우리의 삶이 윤택(潤澤)해지고 행복해진다. 우리가 말하는 정(情)은 사전적 의미 그대로 단순한 뜻이나 실제로는 마음속(心中)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정이란 말 속에는 인정(人情)은 말할 것도 없고 사랑과 미움을 비롯한 어쩌면 삶 자체를 통칭(通稱)할 만큼 이 말이 포용(包容)하는 영역은 넓고도 크다. 물론 정이란 한국적인 정서(情緖)인 이유를 삼척동자도 다 안다. 그야말로 정은 친밀한 사람들 사이의 따뜻한 감정을 뜻한다..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30. 실수(失手) - 自作詩 실수(失手) - 自作詩 실수는 인간이 자신과 희로애락을 함께 하며 공존공생(共存共生)하는 다른 사람과의 마찰에서 오는 충돌로 인해 서서히 생겨나게 된다. 즉 항상 자기만 옳다는 고집 뒤의 착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물론 의사결정(意思決定)은 자기가 하지만 ‘독선(獨善)’과 ‘아집(我執)‘ 속에 숨겨진 ‘야망(野望)’을 연동해 무고한 인신을 무차별 공격함으로써 개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낱낱이 감시하고 통제하고 무력화시킴으로써 그 위에 군림(君臨)하려는 일개(一介)의 시커먼 욕망을 발로하고 있다. 결국 사람들은 순간의 어리석음을 선택함으로써 반항의 본성을 잃어버리고 고유의 의지마저 상실한 채 권력과 출세로 대변되는 ‘기계(奇計)’의 조종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수는 착각 혹은 욕망, 아니 야심의 발달..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30. 카드뉴스 제작할 때 유용한 사이트 TOP5 모음 카드뉴스 제작할 때 유용한 사이트 TOP5 모음 안녕하세요. 최학근입니다. 최근 SNS를 활용한 마케팅이 활발해지면서 이미지와 텍스트를 결합한 카드뉴스 형태의 콘텐츠가 인기(人氣)를 끌고 있습니다. 카드뉴스는 간결하면서도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많은 기업과 개인이 제작(制作)에 참여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카드뉴스를 만들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5곳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카드뉴스 제작의 기초 이해하기카드뉴스는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뉴스 형태입니다. 간결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정보 전달력이 뛰어나며,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작 전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적 파악하기: 카..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29. 나도 혹시 알코올 중독? 술중독 증상 및 해결법 나도 혹시 알코올 중독? 술중독 증상 및 해결법 안녕하세요. Hakgeun choe 입니다. 연말연시 잦은 모임으로 인해 술 마시는 횟수가 늘어나는 시기인데요. 적당한 음주는 기분전환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음주는 건강에 해롭고 술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신이 술중독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술중독 증상을 알아야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술중독 증상 및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술중독이란 무엇인가?술중독 또는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음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술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져 점점 더 많은 양의 술을 마시게 되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금단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개인의 삶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28. 벽(癖)에 대한 인간의 사고능력의 한계에 대한 단상(斷想) 벽(癖)에 대한 인간의 사고능력의 한계에 대한 단상(斷想)사진출처 : wordrow.kr/ 인간의 사고능력(思考能力)에는 한계(限界)가 있기 마련입니다. 왜냐 하면 한계란 사물이나 능력, 책임 따위가 실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또는 그런 범위를 나타내는 선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한계적인 심리구조(心理構造)에 도전(挑戰)하려고 치열(熾烈)하게 경쟁(競爭)을 벌립니다. 그러나 한계는 어디까지나 한계일 뿐입니다.무모(無謀)한 도전은 일종의 벽(癖)입니다. 벽은 적취 혹은 버릇이라고도 합니다. 만약 무엇을 지나치게 추구(追求)하거나 집착(執着)하게 되면 고치기 어려울 정도(程度)로 버릇이 굳어집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시기, 질투에서 표출되는 것입니다. 즉 남을 이기려는 욕망(慾望)에서 오는 잘못된 습관(習慣..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28. 言語의 談話 言語의 談話來源: 핀터레스트: Pinterest 민족이 생래(生來) 이후,한글은 조상과 더불어 고유한,우리 마음의 소리요,감정의 표달이며,사상의 발로요,정신의 노출이다. 또한 올곧음이 스미어 있는 정의의 대변(代辯)이요,올바름이 서리어 있는 진리의 설파(說破)요,조국애가 번지어 있는 애틋한 사랑이요,민족혼이 깃 들어 있는 순란한 미래인 것이다.흔히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우리말은 가위 전국민 누구나 다 응당 써야 할 쓸모에 필요한 모국어이다. 종래에 부득불 투탁(投託) 됐던 漢字는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점차 밀려났고,오랫동안 꾸준히 다듬어진 알뜰한 손질을 거쳐 오늘에는 제 구실이 완전한 국어로,국제무대에서 당당한 위치를 탁립(卓立)하였다. 아름답고 소중한 우리말은 세상을 살아가는 슬기로운 지혜를 재치있게.. 專欄 | 엣세이/我写的落書---追憶篇 2024. 12. 28. 이전 1 2 3 4 다음 💲 추천 글